[Network security] Hacking 역사
Ⅰ. Hacking 변천사
⑴ 태동기(1960 ~ 70)
- 폰 프리 킹이라고 하는 1960대 말 공짜로 전화를 걸던 히피세대 대학생으로부터
태동
⑵ 성장기(1970 ~ 80)
- 컴퓨터 보급이 확산되고 정보통신망이 발달하자 많은 폰 프리커들이
컴퓨터 해커로 변하였고, 1970년대 후반에서는 수많은 개인용 컴퓨터가
가정, 학교, 사무실에 보급되면서 컴퓨터 해커들의 활동이 본격화되기 시작
⑶ 전환기(1980 ~ 90)
- 1980년대 들어오면서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고, 해커들의 사회적 비행 시작
⑷ 탄압기(1990 ~ 2000)
- 1990년대 들어서면서 크래커의 사회적 비행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존재로
발전하고 정치적 이념을 가진 핵티비스트(Hacktivist) 등장
⑸ 발전기(2000 이후)
- 2000년대부터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해킹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
Ⅱ. Hacking 기법 변화
⑴ 1980년대
- 사용자의 Password 추측 공격
-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웜 바이러스 등장
-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여 사용자 Password 크랙
- 백도어
- 3 -
⑵ 1990년대
- 스니핑(Sniffing)
- 세션 하이재킹(Session Hijacking)
- 스푸핑(Spoofing)
- CGI 공격
-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(Buffer Overflow Attack)
- 트로이 목마(Trojan Horse)
- 서비스 거부 공격(Denial Of Service)
⑶ 2000 년대
-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(Distribute Denial Of Service)
- 분산 반사 서비스 거부 공격(Distribute Reflected Of Service)
- Application 해킹